본문 바로가기
문화예술정보

추상표현주의_ 잭슨 폴록의 액션페인팅 & 색면회화

by 샨티하 2024. 5. 23.

추상적이면서도 표현적인 추상표현주의. 형상보다는 작가의 감정표현을 중시한 그림, 추상표현주의의 두 줄기 잭슨 폴록의 액션 페인팅과 바넷 뉴먼, 마크 로스코의 색면 회화 알아봅니다.

 

 

✅ 목차

 

추상표현주의

추상표현주의의 시작

추상표현주의의 특징

액션페인팅과 색면회화

 

추상표현주의

 

추상표현주의는 전후 1940년대 후반부터 1950년대까지 미국 화단을 지배하던 회화의 양식으로, 색채와 형태의 자유로운 조합을 통해 감정과 의식의 흐름을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추상표현주의는 기존의 추상(차가운 추상)과 대비해 '뜨거운 추상'으로 불리기도 하는데 그 정점에 잭슨 폴록의 액션 페인팅이 있다.

 

광고-디플중상

 

추상표현주의의 시작

 

추상표현주의는 2차 세계대전 이후 불안한 시대 상황 속에서 탄생하였다. 이는 전쟁으로 인해 삶의 터전이 파괴되는 것을 지켜보아야 했던 시대적인 불안이 미술로 표현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전까지의 미술이 실제로 존재하는 것, 즉 형상을 표현하는 것이었다면 추상표현주의는 작가의 무의식을 화폭에 표현했다.

 

추상표현주의 용어가 처음 사용된 것은 1929년 미국에서 전시했던 칸딘스키(Wassily Kandinsky. 1866~1944)의 유동적인 초기 작품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미국 평론가 알프레드 바(Alfred Barr)는 칸딘스키의 초기작에 대해 '형식적으로는 추상적이나 내용적으로는 표현주의적'이라는 의미에서 추상표현주의라는 말을 사용했다.

 

이후 1940년대에 이르러 <뉴요커>의 기자 로버트 코츠가 미국의 젊은 작가들, 특히 잭슨 폴록(Jackson Pollock.1912~1956)과 빌렘 드 쿠닝(Willem De Kooning. 1904~1997)의 작품에 대해 '추상표현주의' 용어를 사용함으로써  추상표현주의 용어는 일반화되었다.

 

추상표현주의의 특징

 

 

두 세계대전은 미술계에도 큰 변동을 가져왔다. 그동안 서양 미술의 중심지로 역할했던 파리가 전쟁으로 피해를 입자, 많은 화가들이 전쟁을 피해 미국으로 건너오게 되었고 이에는 마르셀 뒤샹(Marcel Duchamp), 몬드리안(Piet Mondrian), 샤갈 (Marc Chagall), 에른스트 (Max Ernst), 이브 탕기(Yves Tangui), 달리(Salvador Dali) 등이 있었다.

 

이 중 막스 에른스트, 이브 탕기, 살바도르 달리 등 초현실주의 화가들이 사용했던 자동기술법(오토마티즘)이 추상표현주의에 큰 영향을 주었다. 자동기술법이란 무념무상의 상태에서 손이 움직이는 대로 그리는 것을 말한다. 초현실주의자들은 자동기술법을 사용해 자연스러운 선이나 형태로 무의식 세계를 표현했다.

 

전통적인 추상과 추상표현주의의 추상이 기하학적 도형이나, 부정형한 점(點)과 선, 면에 의해 생성된다는 점에서는 같지만, 추상표현주의가 자동기술법을 사용해 형상성을 초월하고자 했다는 점, 나아가 형상성뿐만 아니라 형식적인 측면을 지니는 모든 요소를 화면에서 없애고자 했다는 점에서 전통적인 추상과는 차별화된다.

 

추상표현주의의 대표 화가인 잭슨 폴록의 경우, 전면균질적(全面均質的)인 공간 구성, 드리핑 기법(물감을 흩뿌리는 기법), 그리는 행위 자체에 중점을 둔 액션 페인팅 기법을 사용했는데, 이는 자동기술법의 영향을 나타낸다.

 

액션 페인팅과 색면 회화

 

 

추상표현주의는 크게 '액션 페인팅 (Action Painting)'과 '색면 회화 (Color-Field Painting)'로 나눌 수 있다.

액션 페인팅과 색면 회화는 서로 다른 접근방식을 갖는데, 액션 페인팅이 물감을 화면 위에 흩뿌리며 물감의 흐름과 움직임을 중시하는 것이라면, 색면 회화는 평면적인 색면을 배경으로 신중하게 선택한 위치에 줄무늬를 배열하는데 주안점을 둔다.

 

액션 페인팅

잭슨 폴록의 넘버 8 작품
잭슨 폴록_넘버 8

 

액션 페인팅은 물감을 캔버스 위에 흩뿌리거나 떨어뜨리거나 던지거나 붓는 방식의 기법을 말한다.

이는 완성된 그림 자체보다는 작품을 완성하기까지의 과정과 행위에 더 초점을 둔다. 때문에 물감의 흐름과 움직임, 작가의 신체적 행위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액션페인팅은 작가의 움직임에 따라 표현이 달라지므로, 작품의 완성 과정을 통해 작가의 심리적, 감정적 상태가 표현된다고 볼 수 있다.

 

액션 페인팅의 창시자이자 대표화가는 잭슨 폴록(Jackson Pollock)이다.

 

 

색면 회화

색면 회화는 액션페인팅과는 또 다른 유형의 추상표현으로 회화의 '평면성'을 강조한다.

잭슨 폴록의 액션페인팅이 물감이 여러 겹으로 쌓이는 입체적인 느낌을 형성한다면, 색면 회화는 대형 캔버스에 물감을 넓고 고르게 펴 바르는 형식의 평면성을 부각시킨다.

 

바넷 뉴먼의 단일성6 작품마크 로스코 4 작품
(좌)바넷 뉴먼의 단일성 6, (우)마크 로스코 4

 

색면회화는 평면적인 색면을 배경으로 신중하게 선택한 위치에 줄무늬를 배열하는데 주안점을 둔다. 또한 색채와 형태의 자유로운 조합보다는 단순한 색면의 배치에 초점을 둔다. 작품은 커다란 색채의 블록으로 구성돼 감정과 의식의 흐름을 추상적으로 표현한다.


색면회화를 가까이서 관찰해 보면 전면이 균일한 색채로 덮여 있어 캔버스가 공간 전체로 확장되는 듯한 느낌을 받게 된다. 이는 색상을 거대한 공간으로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순수한 색채 표면이 표면이 부각됨으로 인해, 관람자로 하여금 색 자체에서 오는 에너지와 감동을 느낄 수 있게 한다. 색면회화는 명상적이고 정신적인 분위기로 관람객을 이끌기도 한다.

 

대표적인 화가로는 바넷 뉴먼(Barnett Newman)과 마크 로스코(Mark Rothko)가 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별자리와 신화] 케이론의 궁수자리 신화와 AI그림 (빙 이미지 크리에이터)

 

[별자리와 신화] 케이론의 궁수자리 신화와 AI그림 (빙 이미지 크리에이터)

황도 12궁 별자리 신화 중 궁수자리(사수자리) 신화에 빙 이미지 크리에이터로 그린 AI 그림을 곁들여 봅니다. 요즘 핫한 AI그림 연습도 해 볼 겸, 별자리와 신화 이야기도 이어갈 겸. 손녀 소피아

shanti-ha.tistory.com

[별자리와 신화] 전갈자리와 오리온자리, 그리고 뉴질랜드 마우이 신화

 

[별자리와 신화] 전갈자리와 오리온자리, 그리고 뉴질랜드 마우이 신화

여름 밤하늘에 빛나는 아름다운 별자리, 전갈자리를 본 적 있는지요? 그리고 전갈자리에 얽힌 신화를 아는지요? 전갈자리에 얽힌 신화, 전갈자리와 오리온자리, 뉴질랜드 마우이 신화 소개합니

shanti-ha.tistory.com

밤하늘의 별자리 이름이 궁금하다면? _ 별자리 관측앱 TOP 3

 

밤하늘의 별자리 이름이 궁금하다면? _ 별자리 관측앱 TOP 3

여러분은 별자리를 얼마나 아시나요? 혹 저처럼 기껏해야 북두칠성, 카시오페아 정도만 알고 있진 않나요? 그러면서 알퐁스도데의 을 떠올리고, '별자리를 알고 싶다'는 바람을 갖고 있진 않은

shanti-ha.tistory.com

밤하늘 별자리이야기

 

밤하늘 별자리이야기

어렸을 적, 마당에서 쳐다보았던 촘촘한 별들은 모두 사라졌지만, 혹 오지여행이라도 할 때면 만나게 되는 밤하늘의 별들이 어린 시절의 추억을 한 순간에 소환하곤 합니다. 밤하늘 별자리이야

shanti-ha.tistory.com

[AI 그림] 포도소녀 ㅡ코파일럿과 함께

 

[AI 그림] 포도소녀 ㅡ코파일럿과 함께

웹서핑을 하다가 영감을 주는 그림을 만났다 머리에 포도송이가 있는 여자아이 그림이었다. 나도 따라 그려보고 싶어졌다 그래서 코파일럿을 켜고 요청을 했다 "머리에 포도를 쓰고 있는 예쁜

shantiha-main.tistory.com

 

2024년 새해 인사_빙 이미지 크리에이터와 미리캔버스로 만든 AI 그림 연하장

빙 이미지 크리에이터에서 AI그림을 생성해 미리캔버스에서 완성한 2024년 새해 인사 연하장입니다. 빙 이미지 크리에이터 AI로 그림을 그리는 프로그램은 많이 있지만, 처음 시작한다면 빙 이미

shantiha-main.tistory.com

챗 지피티(Chat GPT)와 빙 이미지 크리에이터(Bing Image Creator)로 만든 AI 창작 동화, 보실래요?